예루살렘 이야기

젊은이(예수)가 미리 본 세상2

06-12-02 김춘봉 987
 

하나로움님께.





제 글 ‘대자연’을 보시고,


성경의 비유를 조금 다른 시각에서 말하는 가운데 현대의 자본주의를 표현한 것 같다 하셨는데 글쎄올시다 ….


60을 훌쩍 넘긴 나이에도 불구하고 오늘 낮에도 공사장에서 잡일을 하다 돌아온 제가


현대의 자본주의에 대해서 글을 쓸 수 있을까요?





하나로움님,





‘서기 30년대 어느 젊은이(예수)는 자연의 풍요로움에 대해서,


생명력이 도출해 내는 신비에 대해서,


긍정적 사고의 인간들이 이룩해 낼 업적에 대해서,


인류가 공유하게 될 사랑과 지혜로움과 슬기로움과.


서로가 서로를 돕는 가운데


의술에 능한 자가


눈 먼 자, 귀머거리, 앉은뱅이, 혈우병을 앓고 있는 자를 고처 주며


특별한 재능을 가진 탓에 부유해질 수밖에 없는 사람이


자기의 소유를 가난한 자들과 나누게 되는


그런 세상을 미리 보았습니다.


그래서 서로 사랑하자 말하게 된 것이랍니다.’





자칭 제자들은 젊은이를 따르면서도  

세상의 어두운 부분만 본 탓에 

멸망이나 

최후의 심판 따위를 말하게 되었는데 


이제 누군가가 나서서


젊은이가 다 말하지 못한 

세상의 밝은 쪽 이야기를 할 때라 하겠습니다.   


인류의 미래는 어둡기만 한 것이 아니랍니다.




  • 06-12-02 나나
    제 댓글이 좀 오해를 불러일으켰나봅니다.
    글을 읽는다는 것 속에는 각자의 선입견도 포함되어서 그런가 봅니다.
    죄송합니다.

    그 글을 보고 더 생각났던 것은
    '왜 학문이 발전한 현대에도 고전이라고 말하는 노자, 논어, 고대 그리스 서적들 등이 더 필요한가?' 라는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현대인들이 볼 때도 여전히 이 고전들은 자연과 인간 속에 있는 보편성을 아주 잘 표현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마 그 이유는 중국인들이 세상에 있는 모든 것을 만개로 보고 '만물(萬物)'이라고 이름지었듯이 그때 사회는 단순했기 때문에 사물의 더 깊은 면들을 볼 수 있었던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렇게 고전이 지금도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을 공학에서는 상호관련성(correlation)이 높다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상호관련성이란 비교하는 대상의 서로 비슷한 정도를 모형화해서 수치로 나타내는 것을 말합니다.

    좀 생각을 더 정리해보겠습니다.
  • 06-12-02 김춘봉
    제 사견을 말씀드리자면 고전은 단지 기호에 지나지 않습니다.
    사람에게 다가와 어떤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이런저런 용도에 쓰이는 도구에 지나지 않습니다.
    성경이나 불경이 세상을 좋아지게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 때문에 불행한 시대를 산 세대도 있습니다.
    중세의 유럽 사회가 그러했고,
    사이비 종단에 미처 이상한 말을 해대는 사람들이 그러합니다.

    고전은 항시 우리들 곁에 있어야하되 정신을 바로 세운다움에 펼쳐보아야 합니다.

    하나로움님,
    님께서는 저에게 뇌파를 자극하는 역할을 하십니다.
    무엇인가를 말하고 싶어 끙끙거릴 때, 하나로움님은 말문을 열어주십니다.
    늘 고맙게 생각합니다.
  • 07-01-05 바람 그 변화51,323
    06-12-30 김춘봉 칼리굴라 황제(2)21,082
    06-12-29 바람 끌어당김, 날려 보냄61,428
    06-12-26 바람 열린 문 닫힌 문11,314
    06-12-25 김춘봉 칼리굴라 황제(1)21,019
    06-12-18 김춘봉 유대인들과 부계사회21,198
    06-12-16 바람 부분과 전체란?31,356
    06-12-13 나나 창조성과 결합능력31,240
    06-12-12 바람 그 1초11,268
    06-12-11 김춘봉 여자들의 증언과 대제사장 가야바01,037
    06-12-08 바람 다른 차원의 것이란?11,186
    06-12-06 바람 수란?21,184
    06-12-02 김춘봉 젊은이(예수)가 미리 본 세상2988
    06-11-30 바람 유효기한이란?11,220
    06-11-30 김춘봉 대자연(大自然)8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