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상생의 세상
상생지기
원정 낙서
도서관
무료법률상담
공지사항
login
상생지기
전체 목록
불교이야기
성경강해
생각하는 자 바라보기
예루살렘 이야기
역사연구
물리학에서 바라본 세상
성경강해
재앙이란?
1
06-11-28
바람
1,323
"여호와께서 노아에게 이르시되 너와 네 온 집은 방주로 들어가라 네가 이 세대에 내 앞에서 의로움을 보았음이니라 너는 모든 정결한 짐승은 암수 일곱씩 부정한 것은 암 수 둘씩 네게로 취하며 공중의 새도 암 수 일곱씩을 취하여 그 씨를 온 지면에 유전케 하라 지금부터 칠일이면 내가 사십주야를
땅에 비를 내려 나의 지은 모든 생물을 지면에서 쓸어 버리리라 노아가 여호와께서 자기에게 명하신 대로 다 준행하였더라"(창7:1-5)
셈: 재앙이란 무엇입니까?
노아: 부분적인 것의 소멸이라 할 수 있겠지. 그런데 그 모든 것은 부분으로서 곧 전체이고,
전체로서 또한 한 부분으로 돌아가는 것이라 할 수 있지. 그러므로 그 모든 부분은 부분으
로서 이미 전체인 것이기 때문에, 그 전체적인 시각이 열리게 되면, 결코 부분으로서의 소
멸이 아님을 알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지
셈: 그러면 재앙이라는 것도 부분적 시각으로서만 보는, 일종의 착각인 것입니까?
노아: 일종의 착각일 수도 있고, 또한 부분적인 것에 치우쳐 있을 때에는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이
기도 하지. 부분적인 것에 사로잡혀 있을 때에는 부분적인 것들이 사라지게 되면 그것이
곧 소멸인것 처럼 보이겠지만 실상으로서 보게 되면, 부분적인 것들이 그쳐지면서, 다른
종류의 것으로 전환(변화)을 하게 되는 것임을 알게 된단다.
즉, 부분적인 시각으로 보게 되면 그것이 소멸인 것 처럼 보이겠지만, 그 모든 전체로서 각
각의 부분을 들여다 보게 되면, 각각의 부분들이 그쳐지면서, 또한 다른 부분으로서 이어
지고 하는(전환), 무수한 순환적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게 되는 것이지.
셈: 그렇다고 한다면, 각각의 부분들이 각각의 부분으로서 그쳐, 그 모든 전체로서 돌아가게
되면 재앙이라고 하는 것이 일어나지 않도록 사전에 미리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 아닙니까?
노아: 그렇지! 그 모든 생명체들이 각각 그것을 사전에 인지하여, 날마다 부분으로서 그쳐
그 모든 전체로 돌아가게 된다면, 재앙이 일어남을 미리 방지할 수가 있겠지.
그런데 문제는 부분적인 것들이 그것을 미리 깨달아 알아차릴 수 있느냐 하는데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지?
셈: 그런데 그 부분적인 것 가운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무엇입니까?
노아 : 바로 부분적인 것으로 뭔가를 이루고 완성할 수 있다고 하는 자기착각이라고 할 수 있지.
이것을 쉽게 표현해서 흔히 '집착'이라고도 하는데, 더 쉽게 설명해 본다면 부분적인
것에 매여 있는 '망상'이라 할 수도 있지.
셈: 부분적인 것으로 뭔가를 이룰 수 있다고 하는 망상이 왜 문제가 되는 것입니까?
노아: 그 모든 전체(공)은 부분의 소멸로서 이루어지기 때문이지. 그 모든 전체(공)은 결코 부분
의 완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란다. 반드시 부분의 소멸, 부분의 손실, 부분의 해체로
서 이루어 지는 것이지, 결코 부분의 완성으로서 전체가 완성되어지는 것이 아니란다.
그런데 부분적인 것들이 그것을 깨닫지 못하고, 부분적인 것으로 뭔가 어떤 공덕을 이루고
완성할 수 있다라고 보고, 끝까지 그것만을 그렇게 추구하게 되면, 그 즉시 착각(과대망상)
에 사로잡히게 되어, 결코 그 전체로서의 완성을 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셈: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서 설명해 주셨으면 하는데요.
노아: 간단한 예로 에너지를 들어보자. 에너지를 부분으로 나누어보게 되면 고체연료인 석탄에
너지가 있고, 액체연료인 석유에너지가가 있고, 기체연료인 가스에너지가 있고, 프라스마
연료인 핵에너지가 있다. 그런데 그 에너지가 어떻게 해서 얻어지게 되였니?
셈: 동식물들의 죽음, 질량등의 손실등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지요.
노아: 그렇지. 바로 그렇단다. 식물의 죽음으로서 석탄이 얻어지고(이루어지고), 동물의 죽음
으로서 기름이나 가스가 얻어지고(이루어지고), 고열속에서 질량의 손실과 충돌로서 핵에
너지가 얻어지는 것(이루어지는 것)처럼, 그 모든 것들이 스스로 그러한 것으로 이루어 지
게 되는 것은 개체의 소멸, 부분적인 것의 소멸로서 이루어 지게 되는 것이란다.
결코 자아의 완성, 개체의 완성, 부분의 완성으로서 그 공덕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란다.
셈: 그런데사람들이 그것을 알아차리지를 못하고, 부분적인 망상에 빠지게 되는 그 이유는 무엇
입니까?
노아: 부분적인 것을 하기에 앞서, 그것으로서는 이미 얻거나 이룰 것이 단 하나라도 없음을 깨닫
지 못하고, 그것을 하게 됨으로서 뭔가를 얻을 수 있다고 자기착각을 앞세우게 되면 자기
자신도 모르게 그렇게 되어지는 것이다.
즉, 어떤 그 누가 시켜서 그렇게 된다라기 보다는, 자기착각으로서 보는 그 과대망상이라
할수 있는 것이지.
셈: ...
노아: 애야! 예를 들어 석유에게 이렇게 물어본다고 하자. 공룡이라고 하는 한 짐승이 완성이
되어 현재 이렇게 석유가 완성되어진 것이냐고 물어본다면, 석유가 뭐라고 대답하겠니?
셈: 웬 해괴망측한 소리입니까? 이렇게 말하겠지요.
노아: 그렇지. 석유라고 하는 입장에서 보게 되면 과거의 그 공룡(부분)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것이지, 부분적인 것의 소멸을 통하여 전혀 다른 것, 전혀 알 수 없는 것으로 전환되였을
뿐이니, 석유에게 가서 공룡이라고 하는 그 시각(잣대)을 들여대면서 애기를 한다면, 이는
곧 황당무계한 소리가 될 수 밖에는 없는 것이지.
셈: 아! 그러네요. 그러니 그 모든 것은 부분적인 것들이 그쳐지고, 소멸되고, 잃어지고
그렇게 하는 그 과정을 통하여, 그 모든 전체로 돌아가는 것이네요. 결코 부분적인 완성
이란 있을 수가 없는 것이네요.
노아: 그렇지! 결코 그럴 수가 없는 것이란다. 그러니 하늘의 아치가 공평한 것이라 할 수 있
지. 만약에 부분으로 부분이 완성되어질 수 있다면, 부분적인 것들이 계속적으로 많이 늘
어나게 될것이고, 그러면 그 즉시 우주는 부분적인 것들에 휘말리게 되어 스스로 멸망할 수
밖에는 없겠지. 부분으로서는 반드시 멸망할 수 밖에는 없으니, 스스로 그 공평이 지켜
지는 무한한 하늘의 섭리라 할 수 있는 것이지.
셈: 그러면 지금의 이 홍수도 부분적의 것의 소멸을 통하여, 그 본래의 것으로 돌아가게 하려는
하늘의 이치외에 다름이 아닌 것입니까?
노아: 그렇지. 사람들이 부분적인 것에 억매여 있으니까, 그것이 이미 아님을 깨닫게 하려고
물로서 그렇게 매여있는 것들 풀어내려고 하는 것인데, 아직 땅의 것에 매임을 받고 있는
사람들에겐, 그 홍수가 임하게 될때에, 그것을 곧 재앙이라 여기게 되는 것이지.
셈: 그러면 질병이란 것도 그러한 것입니까?
노아: 그렇지. 질병을 통하여 부분적인것에 매여있는 것을 소멸케하고, 그것을 통하여 항원이
만들어지게 됨으로서, 다시는 그 질병에 걸리지 않게하는 하늘의 섭리인 것이지.
그러니 이미 그 전체(공)로서 그 억매임에서 떠나 있음이 밝히 보이면, 소멸이 올때에도 그것
이 결코 재앙이나 질병으로 여겨지지 않게 되겠지만, 그것에 억매여 있는 것처럼 보일 때
에는 또한 반드시 그 소멸을 겪어야만 바르게 깨닫게 되는, 공평의 이치라 할 수 있는 것
이지.
셈: 아! 그러니 그 모든 것들을 깨닫고 보면 이미 그 전체로서 그 모든 부분인 것인데, 아직 부
분적인 것에 그쳐 있을 때에는, 부분의 소멸로서 오직 그 전체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군요.
노아: 그렇지. 오직 부분의 소멸, 부분의 모름, 부분의 망실, 부분의 버려짐으로서 알 수있게 되
는 것이지, 그런데 사람들이 세상의 논리에 속아, 뭔가가 완성이 되어지면 비로서 완성
되어지는 것처럼 착각하게 되면, 그것이 곧 스스로의 꾀에 속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는
것이지. 예전에 아담과 하와가 선악과를 따먹게 됨으로서 뭔가를 옳게 알면 옳게 이루면
그제서 뭔가를 옳게 알고, 옳게 이루는 것처럼, 착각하였듯이,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그
러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지.
목록
댓글쓰기
06-11-29
원정
어렸을 때는 인지 면민으로 살았습니다.
좀 더 커서는 서산 시민으로..
충청도민으로..
대한민국 국민으로...
지구인으로...
앞으로는 우주의 마음으로 ...
그렇게 살아질 날이 있기를 고대해 봅니다.
댓글쓰기
댓글 등록
06-11-30
바람
성경¨
유효기한이란?
1
1,222
06-11-30
김춘봉
예루¨
대자연(大自然)
8
1,008
06-11-28
바람
성경¨
재앙이란?
1
1,324
06-11-25
바람
성경¨
처음과 나중이란?
1
1,224
06-11-25
김춘봉
예루¨
소설 ‘유대 왕 아그립바’ 줄거리
1
1,132
06-11-24
바람
성경¨
의인이란?
1
1,358
06-11-23
바람
성경¨
조임과 풀어짐아란?
1
1,345
06-11-18
바람
성경¨
선택 결정이란?
2
1,209
06-11-16
바람
성경¨
나누어짐과 승하여짐 이란?
1
1,230
06-11-15
바람
성경¨
공으로 벗어남이란?
2
1,280
06-11-14
바람
성경¨
혼돈 과학
0
1,274
06-11-14
바람
성경¨
방편 마련이란?
0
1,150
06-11-12
바람
성경¨
인정과 불인이란?
1
1,131
06-11-10
바람
성경¨
열납됨이란?
0
1,149
06-11-09
바람
성경¨
기능수행 이란?
0
1,111
1
2
3
4
5
6
7
8
9
10
6
7
8
9
10
목록
Copyright © 相生의 世上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