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식)공부에 대하여0

24-03-07 여원남주 15

마음은 초기불교에서 식이라는 말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마음(식)은 무엇이며, 왜 마음(식)공부를 한다고 하는가?

불교의 핵심은 연기론인데, 왠 ‘마음(식)공부’라고 의아해 할지도 모르겠다. 그것은 연기를 설명할 수 있는 장소가 ‘마음(식)’이 가장 유리한 측면이 있으니까 선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 인지과학에서는 마음(식)을 ‘자아가 없는 마음(식)’이라 하기도 하고, 자아가 없이 경험이 ‘체화된 마음(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것을 불교식으로 말하면 ‘업보가 모여 있는 마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 마음(식)에는 업보(연기)가 여러 형태로 모여 있다. 그러니까, 마음(식)을 공부한다는 것은 마음(식)만이 주인공이라서 그것만 공부한다는 얘기가 아니다. 모든 것에는 ‘자아’가 없다는 ‘제법무아’가 속마음이며, 그러므로 마음(식)공부의 낙처는 연기를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24-03-12 모모 지인들과 5016
24-03-12 모모 지인들과 4012
24-03-12 모모 지인들과309
24-03-12 모모 지인들과2010
24-03-12 모모 지인들과.. 1213
24-03-11 모모 화두. 제법무아121
24-03-11 여원남주 원정님과 모모님께021
24-03-08 여원남주 태초에 진공이 있었다.016
24-03-07 여원남주 마음(식)공부에 대하여016
24-03-06 모모 지인의 질문..436
24-02-09 모모 고맙습니다.^^128
24-02-04 모모 진공묘유...530
24-02-02 모모 몽지님글과...이어서 내생각627
24-01-22 모모 원정님 답에 대한...1449
24-01-22 현영 마음공부 할 수있게 인도해준 원정님께 감사합니다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