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은 정보 조작....
이미 전쟁은 끝이났고....
군수업체나 석유업체들의 이익을 모두 취한 상태이고...
아래 기사 한 번 읽어보세요.
브리티시 퍼트롤리엄과 로열더치셸 등 영국의 주요 석유업체들은 이라크 침공이 시작되기 몇 개월 전에 미국과 러시아 측이 사전 협상을 벌이고 있는 것을 알고 영국 정부에 후세인 정권 붕괴 후 이라크 유전에 대한 영국 업체들의 이익을 확보해주도록 요청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FT는 전했다.
미국 역시 이라크 침공에 대한 러시아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유전 이권 계약 과정에서 러시아 기업들을 배려하기로 사전 협상을 벌였다는 것.
이에 따라 대량살상무기(WMD)를 숨기고 있어 사담 후세인 정권 축출이 불가피하다는 당시 미국과 영국의 명분과 달리 실제로는 석유 자원 확보가 이라크 침공의 목적이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앞서 6일 영국에서는 지난 2003년 미국 주도의 이라크 침공에 영국이 동맹군으로 가담한 데 대해 잘못된 결정이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영국에서는 지난 2009년부터 7년간 이라크전 참전에 대한 조사활동이 진행돼왔다. 이 조사는 2009년 당시 고든 브라운 총리가 공식 착수를 선언한 뒤 고위 행정관료 출신인 존 칠콧 경이 책임자가 되면서 결과를 담은 보고서도 ’칠콧 보고서’로 불리게 됐다.
칠콧 보고서는 6일 260만 단어를 담은 책 12권으로 만들어져 공개됐고 150페이지에 이르는 요약본도 나왔다. 당초 2~3년 걸릴 것으로 예상됐던 조사활동은 조사단과 정부가 비밀로 분류된 자료의 공개여부를 두고 밀고 당기기를 하느라 지연돼 왔다. 그러나 결국은 당시 내각의 회의록이나 토니 블레어 총리와 조시 부시 미국대통령이 주고 받은 메모까지 조사 대상에 올랐다.
토니 블레어 전 총리는 이에 대해 이라크전 과정에서 숨진 영국군의 유가족들에게 다시 한 번 사과하면서도 “거짓말은 없었고, 의회와 내각은 오도되지 않았으며 정보가 왜곡되지도 않았다”며 당시 정책결정을 옹호했다고 BBC가 보도했다.
조지 부시 전 미국대통령도 공보책임자를 통해 “사담 후세인이 없어서 전세계가 더 나아졌다고 여전히 믿는다”고 밝히고 “토니 블레어 총리의 리더십아래 (미국과 영국이) 가장 강한 연대를 구축했었다”며 블레어 총리를 두둔했다.
2003년부터 6년동안 이어진 이라크전은 미군 4,487명과 영국군 179명 그리고 9만 명에서 60만 명까지 추정되는 이라크인의 목숨을 앗아갔고, 이후 테러의 확산과 대규모 난민 발생의 후유증을 낳으면서 결국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사태까지 촉발한 원인이 됐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