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의 정석. 알고 먹으면 200% 맛있다
[JES] 일단 한번 빠져들면 평생을 먹게 되는 라면. 라면은 빨리 퍼지는 단점만 극복한다면 어떤 요리에도 잘 어울리는 특별한 국수다. 더욱이 면 따로 스프 따로 라는 생각을 가지고 요리에 도전한다면 적용할 수 있는 메뉴가 무궁무진하게 많다.
때로는 칼국수 처럼. 때로는 스파케티 처럼. 혹은 가는국수 처럼 튀기고 볶고 삶고 무치고 찌면 그야말로 다양한 요리가 된다. 조금만 성의를 기울인다면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라면을 먹을수 있다.

1.라면의 유래라면을 최초로 개발한 나라는 일본으로. 1958년 께부터 생산하기 시작했다. 일본의 라면 개발에는 2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중국의 건면 유래설이다. 중·일전쟁 때 관동군이 중국인의 전쟁 비상식량인 건면을 맛보고 종전 후 일본으로 돌아와 건면을 식용유지에 튀겨서 보관하기 쉽도록 포장하고 수프를 개발함으로써 라면이 되었다는 설이다.
또 하나는 안도라는 사람이 면을 기름으로 튀기는 방법을 착안했다는 것인데 이 두번째 설이 라면 개발의 정설로 굳어졌다. 라면이 한국에 도입된 것은 1960년 무렵이었다.
2.라면의 오해와 진실
▲라면이 꼬불꼬불한 이유
라면은 일반국수와 달리 꼬불꼬불한 면발이 일정한 모양을 형성하고 있다. 그 이유는 첫째. 좁은 공간면적에 많은 부피의 면발을 담을 수 있기 위해서다.
둘째로 영양가를 높이면서 보존기간을 오래 지속하기위해 튀김 공정에서 수분 증발을 도울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는 조리시 꼬불꼬불한 틈새로 뜨거운 물이 들어가 조리시간을 보다 짧게 하기도 한다. 셋째는 미학적인 면도 고려한 것이다.
▲라면 때문에 얼굴이 붓는다?
저녁 무렵 라면을 먹고 자면 아침에 얼굴이 퉁퉁 붓는다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라면 때문에 얼굴이 붓는 것은 아니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라면의 특성은 맵고 짠맛을 좋아하는 소비자 입맛에 맞게 제조됐다. 따라서 저녁 무렵 라면을 먹게 되면 수프의 맵고 짠맛을 없애기 위해 물을 많이 섭취하게 되고 이를 몸 밖으로 배출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얼굴이 붓는 것이다.
▲라면에는 방부제가 없나?
방부제는 물질이 썩는것을 방지하는 약품이다. 그런데 음식물이 썩는 원인이 되는 물기를 제거해주므로 따로 방부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렇게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의 벙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라면의 경우 기름에 튀김으로써 면속에 들어 있는 물기를 빼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처럼 기름에 튀긴 면을 유탕면이라고 하며 뜨거운 공기를 이용해 건조시킨 면을 건면이라고 한다. 유탕면에는 신라면 너구리 안성탕면 짜파게티등이 있고 건면에는 냉라면 냉비빔면 모밀국수 등이 있다.
3. 라면의 응용 ‘베스트3’

-주재료 라면·베이컨·양파·마늘·당근·양배추·버터·소금·후추·생크림 150㎖·우유 200㎖.
-요리법① 베이컨·햄·양파 등 집에 있는 것들을 대충 꺼내서 잘게 썬 다음 버터에 소금·후추를 넣고 볶는다.
② 생크림·우유를 넣고 팔팔 끓이다가 다시 소금·후추로 간을 해 놓고
③ 미리 삶아 놓은 라면을 넣고 살짝 조려준 뒤 꺼내면 완성.

-주재료 라면 3개·양파·당근·배추·목이버섯·팽이버섯·마른 홍고추·피망·마늘·소금·후추·간장 2큰술·굴소스 1큰술·설탕 ½큰술·참기름 1작은술.
-요리법① 면이 조금 덜 삶아졌나 싶을 때 얼른 꺼내 찬물에 헹구어 놓는다
② 후라이 팬에 기름을 두르고 마늘과 마른 홍고추를 볶다가 준비해 놓은 야채들을 넣고 볶으면서 소금과 후추를 살짝 뿌려 준다.
③찬물에 헹구어 물기를 빼놓은 라면을 넣고 같이 볶는다
④간장과 굴소스. 설탕으로 간을 맞추고 마지막에 팽이버섯을 넣고 참기름을 넣어준 후에 휘리릭 섞어주면 완성.

-주재료 라면 2개. 쇠고기. 표고버섯. 진간장. 설탕. 꿀. 참기름. 후추가루. 두부. 된장. 고추장. 김자. 양파. 브로콜리. 녹말물.
-요리법①삶은 쇠고기. 표고버섯에 진간장. 설탕. 꿀. 참기름. 후춧가루. 깨를 넣어 조물조물 무친다
②식용유 두른 팬에 양파. 감자. 양념한 쇠고기. 표고버섯 순으로 볶다가 된장. 고추장을 넣어 볶아준다
③쇠고기 삶은 물을 부어 끓이고 기름에 지진 두부. 브로콜리와 녹말물넣어 걸죽하게 된장소스 만들고 끓는 물에 라면을 3분간 삶아 찬물에 헹궈 접시에 담고 마무리한다.
이미나 [paper.cyworld.com/lmina]
때로는 칼국수 처럼. 때로는 스파케티 처럼. 혹은 가는국수 처럼 튀기고 볶고 삶고 무치고 찌면 그야말로 다양한 요리가 된다. 조금만 성의를 기울인다면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라면을 먹을수 있다.

1.라면의 유래라면을 최초로 개발한 나라는 일본으로. 1958년 께부터 생산하기 시작했다. 일본의 라면 개발에는 2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중국의 건면 유래설이다. 중·일전쟁 때 관동군이 중국인의 전쟁 비상식량인 건면을 맛보고 종전 후 일본으로 돌아와 건면을 식용유지에 튀겨서 보관하기 쉽도록 포장하고 수프를 개발함으로써 라면이 되었다는 설이다.
또 하나는 안도라는 사람이 면을 기름으로 튀기는 방법을 착안했다는 것인데 이 두번째 설이 라면 개발의 정설로 굳어졌다. 라면이 한국에 도입된 것은 1960년 무렵이었다.
2.라면의 오해와 진실
▲라면이 꼬불꼬불한 이유
라면은 일반국수와 달리 꼬불꼬불한 면발이 일정한 모양을 형성하고 있다. 그 이유는 첫째. 좁은 공간면적에 많은 부피의 면발을 담을 수 있기 위해서다.
둘째로 영양가를 높이면서 보존기간을 오래 지속하기위해 튀김 공정에서 수분 증발을 도울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는 조리시 꼬불꼬불한 틈새로 뜨거운 물이 들어가 조리시간을 보다 짧게 하기도 한다. 셋째는 미학적인 면도 고려한 것이다.
▲라면 때문에 얼굴이 붓는다?
저녁 무렵 라면을 먹고 자면 아침에 얼굴이 퉁퉁 붓는다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라면 때문에 얼굴이 붓는 것은 아니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라면의 특성은 맵고 짠맛을 좋아하는 소비자 입맛에 맞게 제조됐다. 따라서 저녁 무렵 라면을 먹게 되면 수프의 맵고 짠맛을 없애기 위해 물을 많이 섭취하게 되고 이를 몸 밖으로 배출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얼굴이 붓는 것이다.
▲라면에는 방부제가 없나?
방부제는 물질이 썩는것을 방지하는 약품이다. 그런데 음식물이 썩는 원인이 되는 물기를 제거해주므로 따로 방부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렇게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의 벙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라면의 경우 기름에 튀김으로써 면속에 들어 있는 물기를 빼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처럼 기름에 튀긴 면을 유탕면이라고 하며 뜨거운 공기를 이용해 건조시킨 면을 건면이라고 한다. 유탕면에는 신라면 너구리 안성탕면 짜파게티등이 있고 건면에는 냉라면 냉비빔면 모밀국수 등이 있다.
3. 라면의 응용 ‘베스트3’

-주재료 라면·베이컨·양파·마늘·당근·양배추·버터·소금·후추·생크림 150㎖·우유 200㎖.
-요리법① 베이컨·햄·양파 등 집에 있는 것들을 대충 꺼내서 잘게 썬 다음 버터에 소금·후추를 넣고 볶는다.
② 생크림·우유를 넣고 팔팔 끓이다가 다시 소금·후추로 간을 해 놓고
③ 미리 삶아 놓은 라면을 넣고 살짝 조려준 뒤 꺼내면 완성.

-주재료 라면 3개·양파·당근·배추·목이버섯·팽이버섯·마른 홍고추·피망·마늘·소금·후추·간장 2큰술·굴소스 1큰술·설탕 ½큰술·참기름 1작은술.
-요리법① 면이 조금 덜 삶아졌나 싶을 때 얼른 꺼내 찬물에 헹구어 놓는다
② 후라이 팬에 기름을 두르고 마늘과 마른 홍고추를 볶다가 준비해 놓은 야채들을 넣고 볶으면서 소금과 후추를 살짝 뿌려 준다.
③찬물에 헹구어 물기를 빼놓은 라면을 넣고 같이 볶는다
④간장과 굴소스. 설탕으로 간을 맞추고 마지막에 팽이버섯을 넣고 참기름을 넣어준 후에 휘리릭 섞어주면 완성.

-주재료 라면 2개. 쇠고기. 표고버섯. 진간장. 설탕. 꿀. 참기름. 후추가루. 두부. 된장. 고추장. 김자. 양파. 브로콜리. 녹말물.
-요리법①삶은 쇠고기. 표고버섯에 진간장. 설탕. 꿀. 참기름. 후춧가루. 깨를 넣어 조물조물 무친다
②식용유 두른 팬에 양파. 감자. 양념한 쇠고기. 표고버섯 순으로 볶다가 된장. 고추장을 넣어 볶아준다
③쇠고기 삶은 물을 부어 끓이고 기름에 지진 두부. 브로콜리와 녹말물넣어 걸죽하게 된장소스 만들고 끓는 물에 라면을 3분간 삶아 찬물에 헹궈 접시에 담고 마무리한다.
이미나 [paper.cyworld.com/lmina]
도서관 댓글
@ 남북정상회담, 북미…
@ 많이 먹어서 살 찌는…
@ 이런 집 지어볼까?
@ 한국 부동산의 미래
@ 매장 직원에 권한 주…
@ 추위에 강한묘목 선…
@ 투자방법
@ 펀글)자본주의 시스…
@ "천안함 진실규명, …
@ 도로정보, 지역정보
@ 브라이언 트레이시 …
@ 미네르바 '옥중 보고…
@ 주식투자로 50억원 …
@ "부동산 대폭락 시대…
@ 부 창출 사이클(THE …